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보행자 중심 도로교통법

횡단보도에서 보행자 보호 횡단보도 앞에 보행자가 있으면 무조건 일시 정지해야 한다. 2022년부터는 ‘보행자 중심’으로 강화된 교통법규에 대해 다시 한 번 확인해 보려고 한다. 특히 운전자가 헷갈리기 쉬운 부분부터 짚어본다. 신호등 있는 횡단보도에서 우회전 할때 주의사항 운전자가 우회전 횡단보도 통과 시 이전에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가 있을 때만 멈추었지만 바뀐 규정에 따르면 횡단보도를 건너려고 대기하는 보행자만 있어도 멈추어야 한다. ◈ 차량 신호 적색 / 보행 신호 적색 : 일시정지 후 우회전 가능 ◈ 차량 신호 적색 / 보행 신호 녹색 : 일시정지후 보행자가 없으면 우회전 가능 * 보행자가 있을 때 일시정지, 우회전 중 신호에 따라 진행하는 차량이 신고할 경우, 신호위반 책임 ◈ 차량 신호 녹색..

카테고리 없음 2022. 6. 27. 23:27
기준중위소득 100%이하 코로나19 생활지원비 지급

7월 11일부터 코로나19 생활지원비 대상 축소 7월 11일부터 입원·격리 통지를 받는 확진자부터는 코로나19 격리자에게 지급되는 생활지원비 지원 대상이 축소된다. 즉, 기준중위소득의 100%이하 가구에만 생활지원비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한다. 현재 정부는 소득과 상관없이 1인 기구 10만 원, 2인 이상 가구 15만원 정액으로 생활지원비를 지급하고 있다. 또한 전체 중소기업 노동자들에게 지급하던 유급 휴가비의 경우도 종사자 수 30인 미만인 기업(전체의 75.3%) 노동자에게만 지급하게 된다. 이는 방역 상황이 안정적 추세를 보임에 따라 격리와 관련된 재정지원 제도를 개편하여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방역을 도모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변화이다. 다만 본인 부담이 큰 입원환자 치료비에 대해서는 현재와 같이 ..

카테고리 없음 2022. 6. 26. 10:28
승용차 요일제 혜택

승용차 요일제란? 승용차요일제는 월요일에서 금요일 중의 하루를 운행하지 않는 날로 정하고 스스로 실천하는 자발적인 시민참여운동이다. 승용차요일제에 대한 시민참여 유도를 통해 도심 내 혼잡한 교통 환경을 완화시키고,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각 도시에서 시행되고 있다. 그리고 보다 많은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각종 혜택을 제공한다. 승용차요일제에 참여하면 공영주차장 50%할인,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가점 부여, 교통유발부담금 30%감면 등 푸짐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러한 혜택을 주는 승용차요일제는 이미 많은 도시에서 시행되고 있다. 대구 대중교통 마일리지 혜택 대구에서는 승용차요일제에 참여하면 마일리지로 돌려주는 혜택이 하나 더 제공된다. 대중교통 마일리지제도란 승용차요일제 참..

카테고리 없음 2022. 6. 25. 09:38
2022 대구치맥페스티벌 Daegu Chimac Festival

돌아온 치맥페스티벌 언 제 : 2022.07.06(wed) ~ 07.10(sun) 어디서 : 대구시 두류공원 일원(그 외 지역 연계행사) 치킨의 도시 대구! 왜 대구에서 치맥페스티벌이 개최되는 것인가? 이런 의문을 가진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 대한민국 사람 누구나 치맥을 즐기는데 대구에서 치맥축제가 열리는 이유! 알고 보면 대구는 대한민국 치킨산업의 중심지이다 전국의 유명한 치킨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시작된 곳이 바로 대구이다. 한국전쟁 이후 양계산업 발달을 기반으로 7~80년대부터 치킨 브랜드가 생겨나기 시작하여 멕시칸치킨, 멕시카나, 처갓집양념치킨, 스모프치킨 등의 대구치킨 브랜드가 이름을 알렸다. 현재 많이 알려진 대구 출신 브랜드로는 교촌치킨, 대구통닭, 땅땅치킨, 별별치킨, 종국이두마리치킨, 치킨..

카테고리 없음 2022. 6. 23. 07:11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41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