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2022년도 본인부담상한액 초과 의료비 돌려받는 방법, 대상

2022년도 본인부담상한액 초과 의료비 지급대상 '2022년도 본인부담상한액 초과 의료비' 지급 대상은 186만8545명이다. 이중 61만여명이 아직 의료비를 지급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들이 돌려받을 의료비는 총 7199억원가량으로, 1인당 118만원이 된다. 지급절차 건보공단에서 초과 의료비 지급 대상자에게 지급 신청 안내문을 순차적으로 발송한다. 2022년 분은 8월23일에 이미 문자 발송이 되었다. 안내문을 받았다면 지급 대상자이므로 진료받은 사람의 인적 사항과 지급받을 계좌를 기재해서 방문하거나 전화, 인터넷, 팩스, 우편을 통해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신청하면 된다. 본인부담상한제도란? 과도한 의료비로 인한 가계 부담을 덜기 위해 2004년 도입된 제도다. 환자가 부담한 건강보험 본인 부담금이..

카테고리 없음 2023. 9. 20. 12:21
소아암 환자 치료를 위한 거점병원

우리나라 소아암 현황 소아암은 인구 감소에 따라 적정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필수의료 분야이다. 소아암은 진단 후 1~2년 동안 집중치료가 필요하지만 적절한 의료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지방에 거주하는 환자와 가족들의 어려움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소아암은 백혈병 등 혈액암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한 해 1,300명 정도가 신규 발생하고 있다. 소아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86.3%로 전체암(71.5%)보다 높아 소아암 환자는 적절한 치료를 통해 정상적인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 다만, 진단 후 완치까지 1~2년간 집중 치료가 필요함에 따라 학교생활의 공백 등으로 아동의 정서적 발달에 어려움이 있기도 하다. * 일반인과 비교하여 암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 지역별 거점병원 ①충청권역(대전・충남・충..

카테고리 없음 2023. 7. 27. 22:31
전자책 무료 구독 서비스 "e-북드림"

전자책무료구독서비스 교육부와 롯데장학재단·예스24가 힘을 모아 어린이들이 비용 걱정 없이 마음껏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전자책 무료 구독 서비스(e-북드림)’를 확대한다고 한다. 올해로 4년 차가 된 ‘e-북드림’은 어린이들이 쉽고 편하게 독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시작되었다. 그동안은 학교에서 교과 독서수업과 독서동아리에 활용되어왔다. 올해부터는 롯데장학재단, 예스24 등의 협의를 통해 책을 마음껏 읽고 싶은 아이는 월별 구독 수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서비스가 대폭 확대된다. 전자책무료구독서비스 운영기간 전자책 무료 구독 서비스는 7월 1일부터 개시되어 2024년 6월 30일까지 1년간 운영된다. 전자책무료구독서비스 이용대상, 방법 이용 대상은 학생, 교원, 학교 ..

카테고리 없음 2023. 7. 2. 17:16
2024년도 달력, 공휴일, 절기, 명절

2024년도 달력 2024년도는 2월이29일로 1년이 366일(윤년)이 된다 2024년 달력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관공서의 공휴일은 총 68일이다. 52일의 일요일과 국경일, 설날 등 18일의 공휴일을 총70일이지만 설날(2.11.)과 어린이날(5.5.)이 일요일과 겹쳐 실제 총 공휴일 수는 68일로이 된다. 2023년도 68일로 동일하다. 68일에는 내년 치러질 제22대 국회의원선거일(4.10.)을 포함하고 있다. 주5일제 기업의 총 휴일 일수는 119일 관공서의 공휴일 68일과 함께 52일의 토요일이 더해져 휴일수가 120일이지만 공휴일 중 토요일과 겹치는 1일(설날 연휴 둘째 날(2.10.))을 제외하면 실질적 총 휴일 수는 119일이며, 이는 올해(2023년, 117일)보다 2일 늘어난 것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3. 6. 29. 13:05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42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